Replies: 1 comment
-
|
안녕하세요. 내부적으로 gRPC 를 사용하기 때문에 관련 기능들을 활용하면 다만 KOAPY 가 기본적으로 로컬호스트에서 동작하도록 되어있고 그렇기 때문에 이후 아래에서 말씀드릴 내용들은 지금까지는 따라서 host 를 직접 설정하기 위해서 당장은 그보다는 더 하위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직접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다루셔야 하는데요. 그것들이 바로 구체적으로 각각의 객체 생성시에 네트워크와 관련해서 서버가 외부 공용 네트워크에서의 접근이 불가능하고 내부 개인 네트워크상에서만 접근 가능하게끔 설정되었다면 여기까지 만으로도 충분할듯 싶은데요. 만약 그게 아니라면 gRPC 의 Authentication 기능을 활용하는걸 권장드립니다. 사실 현재까지는 딱히 해당 부분을 설정할 방법이 없었는데요. 이번에 57c42dc 를 통해서 관련 credentials 를 전달하는게 가능하도록 했고 해당 수정이 0.4.2 버전에 포함되어 배포되었습니다. 앞의 커밋에 관련 기능 테스트를 위한 예시코드도 포함되어 있으니 한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해당 예시에서는 ssl 을 쓰고 있는데, 말고 다른 다양한 방법들과 관련해서는 gRPC Python 문서의 credentials 관련 부분들도 확인해보세요. 이외에이거는 또 별개의 이야기지만, 별도 서버에서 상시 떠있게 만드려면 아래같은 처리도 주기적으로 해줘야 될 것으로 생각되네요.
저도 별도 서버에 띄워놓는 생각을 해본적은 있지만, 말씀드린 보안상의 이슈와 위와 같은 처리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몰라서 일단 덮어두었는데, 혹시나 해보시고 잘 되면 알려주세요. ㅎㅎ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안녕하세요.
키움이 언제까지 32bit만 지원할런지.. 좀 답답하네요.
koapy serve를 서버를 올려 놓고, 응용프로그램만 실행하는 별도의 서버에서 연결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